언어의 진화

  • 2024-09-08 (modified: 2025-07-06)

언어진화.

관점들

  • 촘스키 대 핑커: 촘스키는 인간의 언어를 진화적 적응으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반면 핑커는 적응주의 관점을 지지.
  • 제프리 밀러: 언어가 진화적 적응이라고 주장. 단 성선택에 의한 진화적 적응이라는 관점.
  • 반복된 학습 모델: 언어 학습을 문화적 진화의 관점에서 설명. 언어자극이 부족하다고 해서 꼭 언어 습득에 특화된 무언가가 생물학적으로 내재되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는데, 왜냐하면 언어자극이 부족해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형태로 언어 자체의 구조가 변하면 되기 때문. 그리고 그 결과로 얻어진 구조가 바로 언어의 조합가능성.

기타

이것이 생물학이다 11장 “진화에서 인류의 자리”에서는 언어, 뇌, 정신의 공진화를 이야기한다.

아이 돌보기, 사냥과 더불어 뇌의 크기 증가에 기여한 주요 요인은 언어의 발달과 이를 통해 가능해진 문화의 형성, 그리고 다음 세대로 문화의 전달이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면서 동시에 작용했기 때문에 이들 중 두드러진 요인 하나를 선택한다는 것은 무의미하다. —p374

Articles

2025 © ak